AWS

· AWS
로컬에서 웹개발을 하다보면 배포를 할 상황이 반드시 온다. 실제 웹사이트처럼 배포하면 좋겠지만 DB를 붙이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통신을 확인하고 nginx 서버를 구성하는 일은 매우 복잡하다. 또 편리한 클라우드 플랫폼이 매우 많이 생기기는 했지만 내가 로컬에서 테스트 해보던 환경을 그대로 가지고 가려면 그에 맞게 프로젝트를 변경해야 할수도있고 초보자가 감당하기는 쉽지 않은 일들이다. 오늘은 아주아주 간단하게 리눅스 ec2 한대에, 프론트엔드 백엔드 mySQL을 모두 배포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준비물은 리눅스 ec2 한대, 그에 연결할 SSH 접속 툴, 배포하고싶은 프로젝트 정도이다. 이마저도 없다면 내가 준비해놓은 자료들을 이용하도록 하자. 무료로 ec2 생성하기 -> [AWS nodejs 웹서버..
· AWS
여러가지 서버를 배포하고, 가상컴퓨터를 운영할때 터미널 접속 툴이 있으면 매우 편리하다. aws에서 기본적인 터미널을 제공하기는 하지만 실용적이지는 않다. 간단하게 Xshell로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작 먼저 xshell 설치 관리자를 설치해준다 xshell 무료 라이선스 링크 무료 라이선스 - NetSarang Website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실행해주고, 계속 다음을 누르다가 기본값 그대로 설치를 해준다 설치 완료후 실행시 이런화면이 나오는데 나중에 선택하고 넘어가면 된다. 이런 화면이 뜨면 설치가 완료된것이다. 이제 EC2와 연결을 해보자. 좌측 상단에 새로만들기를 눌러주면 이런창이 나오는데, 생성한 ec2의 public IPV4 DNS를 호스트 란에 입력해준다. EC2 가 없다면 다음을 참고해 ..
· AWS
프리티어 ec2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nodejs 서버를 배포하려고 한다. 먼저 aws 왼쪽 위 검색 바에서 ec2를 검색하고, ec2 메뉴로 들어간다. 이런 창이 나오면, instance를 클릭 한다. 다음 이런창이 나오면 launch instance를 클릭한다. 여기서부터 중요하다. name : 인스턴스의 이름을 결정해준다. 나는 test_ec2로 생성했다. OS : 인스턴스에서 사용할 운영체제이다. 특별히 사용해야하는 OS가없다면 ubuntu 22.04버전으로 해준다. instance type : 인스턴스의 CPU , 램등 자원이 어느정도 할당될지 결정하는 것이다. free-tier를 기준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t2.micro로 해준다. ! 이떄 모든 항목이 free-tier eligible인지 반드시..
driscoll
'AWS'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