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nodejs
오늘은 지난번에 컨트롤러로 데이터를 받아오는 기능을 이용해, 인증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해본다. home.ctrl.js에서 먼저 user변수를 추가해 임의로 세명의 사용자를 만든다. 각 아이디는 lls,eeo,abv이다. 또 process.login()함수에서 id와 psword변수에 req로 받은 데이터의 id,psword를 저장한다. 저장한 id,psword를 이용해 간단한 인증을 한다. if절부터는 입력한 id가 존재하면, id의 인덱스를 저장하고 해당 인덱스의 비밀번호 값과 받은 입력데이터의 비밀번호가 같으면 succes에 true 담는다. id가 없거나 비밀번호가 id의 인덱스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succes를 false로 설정하고 로그인 실패 메세지를 msg에 담는다. 이때 담은 데이터는 res..
· nodejs
지난번까지 해서 login.js파일에 req변수에 입력 id와 pwd를 저장하는 과정을 거쳤다 오늘은 입력값을 서버까지 보내는 것까지 할것이다. 원래 데이터를 서버와 주고받을때 서버개발자와 프론트엔드 개발자 사이에 API가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API란 프론트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가 데이터를 동일한 경로로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약속 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는 로그인 화면의 router를 index.js에 만들어 놓긴 했지만,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받는 것까지는 구현이 안되어 있다. 일단은 , 구현이 되어있다 가정하고 프론트(login.js)에서 데이터를 보낼수 있도록 먼저 수정하겠다. login.js파일에 JSON형태로 저장되어있는 req 변수를, string으로 바꿔준다. stringfy함수의..
· nodejs
오늘은 로그인을 했을때 입력한 아이디등을 DOM을통해 서버에 전달하는 방법을 배울것이다. DOM은 Document Object Model로 일종의 인터페이스인데, 이를 이용해 js에서 html의 데이터를 가져올수 있게된다. login.js를 다음과같이 작성한다. querySelector를 이용하면 id = "이름" 에 입력된 이름 으로 html의 데이터를 가져오고, #이 없으면 해당 객체의 데이터를 가져온다 또한 loginbtn에 login함수를 연결해주어 로그인 버튼을 클릭시 아이디에 입력한 값을 console에 출력하도록 수정했다. 따라서 login.ejs파일 또한 수정해줘야 한다.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아이디에입력한 값은 id, 비밀번호에 입력한 값은 psword으로 가져올수 있도록 한다 이제 서버..
· nodejs
이제 본격적으로 프론트를 만들기위한 js폴더를 생성해줍니다 src폴더 아래 public, public폴더 아래js, js폴더 아래 home폴더, home 폴더에 login.js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제 views의 ejs파일들과 js를 연결해주기위한 미들웨어를 생성해줍니다. app.js에서 내용을 다음과 같이 바꿔주겠습니다. login.js파일은 생성만 하고 login.ejs파일을 먼저 수정해 둘을 연결해 줍니다. 이제 login.js가 잘 연결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login.js파일에서 로그를 찍겠습니다. login.js 파일에 다음과 같이 작성해줍니다. 다시 서버 실행후, localhost:3000/login을 접속하고 개발자 도구 -> 콘솔을 보면 log가 잘 출력됩니다
· nodejs
이제 어느정도 뼈대가 잡혔고 파일을 용이하게 관리하기 위해 폴더 구조를 변경해보자 login-lecture 아래 app폴더를 만들어 .gitignore파일을 제외한 파일들을 몰아넣는다 app폴더 안에 src폴더를 만들어 routes,views폴더 전체를 넣는다 이제 디렉토리 구조를 바꿨으니 라우터,서버의 코드를 그에따라 변경해야한다 routes와 views가 src아래 있기 때문에 다음과같이 고쳐준다 서버 실행이 잘되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 nodejs
. 오늘은 node package와 module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프로젝트 폴더 위치에서 npm init을 해주고, 아래 나오는 설정들은 다 default로 설정하기 위해 enter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package.json파일이 생성 되는데 이는 우리가 만든 패키지를 npm이라는 저장소(git hub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에 배포할때 명시되는 정보를 담은 파일로 name은 패키지이름 version은 배포될 버전 description은 패키지 내용 설며 main은 패키지의 main파일 bin은 담겨있는 실행파일들 depenencies는 실행될때 사용되는 패키지들 devDependencies는 개발시에만 사용하는 패키지들 (테스트도구나 바벨등) scripts는 패키지실행..
· nodejs
구글에 nodejs검색후 다운로드 페이지로 접속한다 그후 본인의 PC에 맞는 버전을 설치하면 된다. 이때 LTS는 가장 안정적인 버전, 현재 버전은 계속 업데이트 중인 새로운 버전이다. 나는 최신 기능을 크게 사용하지 않고, 윈도우 64bit운영체제를 사용중이기 때문에 LTS, windows 64-bit를 선택했다. 설치된 파일을 실행하면 라이센스등 필요한 것들에 대한 화면이 나온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설정이 없어 모두 next 누르고install을 했다. 설치가 완료되고, vscode에서 터미널을 열어 node를 입력하면 버전정보확인과 실행이 된다. 잘되는지 확인했으면 Ctrl+c를 두번 눌러 종료하자
· docker
클라우드는 인터넷을 통해 IT 리소스가 필요할 때마다 필요한 만큼 쓰고 비용을 내는 일종의 리스 같은 임대 서비스라 고 할 수 있다. 주거 형태로 친다면 기존의 온프레미스(On-premise)는 내 집이고 클라우드는 숙박 업체에 비유할 수 있다. 즉, 필요한 만큼 빌리고 필요한 기간 만큼 사용하고 그 비용을 업체에 지불하는 것이다. 내 집을 짓기 위해서는 설계부터 완공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들여야 한다. 한번 짓고 나면 사이즈를 줄이거나 늘리고 필요 없는 공간이 생겨도 없애기 힘들다. 집을 짓는 것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도 엄청난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한다. 이에 반해 임대는 건물을 짓고 유지보수하는 건 모두 숙박 업체의 몫이고, 사용자는 필요할 때 필요한 만큼만 빌 리면 된다. 빌리고자 하는 공..